*** 참고 : 몇 분께서 메뉴얼 내용에 대해서 언급해 주셔서 아래 내용을 더 보강했습니다. (영문 메뉴얼도 Capture) ***
E class(E200, E220, E250, E300, E350 모두)사신 분들께 알려드립니다~!! 후방 카메라에 주차 가이드 선이 메뉴얼에는 떡하니 있다고 적혀 있지만, 실제로는 화면만 덩그러니 나옵니다.
아래 사진은 사용자 메뉴얼에 해당 내용을 찍은 건데요, 제가 하단에 밑줄 친 내용을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표시창에 안내선과 함께 표시됩니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영문 메뉴얼에도 적혀있습니다. "Guide lines in the COMMAND display.")
단, 책 서두에 아래와 같이 적혔는 있습니다. "The equipment or model designation of your vihicle may vary accroding to: ... " 하지만 책 내용을 모두 읽어 보면 각각의 기능들마다 차 옵션이나 국가별로 다를 수 있는 항목은 분명이 "국가별로 다를 수 있다." 라고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주차 안내선은 모델에 따라서 이게 안나올 수 있다 그런 말은 어디에도 한 마디도 적혀있지 않습니다.
제가 이 책을 들고 분당 서비스 센터에 갔습니다. 전혀 이런 사실을 모르더군요. 담당 어드바이져 뿐만 아니라 거기에 계신분들 모두.... 그런데 왜 벤츠코리아는 아래 책자와 다르게 후방 카메라를 설정해 놓고 고객들에게 한마디 말도 없이 기능을 빼버린 걸까요?
이건 분명히 문제가 있는 것 아닐까요? 저만 후방카메라에 주차 선이 없어서 주차가 힘드신게 아닐 것 같습니다.
벤츠는 그래도 타 독일 차 중에서 제일 신뢰하고 있는데.... 이거참....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그냥 내돈으로 맘편하게 사재를 장착해야 할까요? 아니면 소비자 보호원에 신고라도 해서 권리를 찾아야 할까요?
리콜은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결함을 바로잡기 위해 시행합니다. 이곳에서는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와 환경부가 제공한 2000년 이후 리콜 자료 전체를 보여드립니다.
-
안전벨트뒷좌석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걸쇠가 버클에서 분리되는 결함으로인해 자동차 충돌 시 탑승객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음. 안전밸트 걸쇠 점검 ...
생산시기 2003. 8. 6 - 2003. 10. 6 세부차명 E클래스 차량대수 129 대 조치시작 2004. 1. 10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뒷좌석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걸쇠가 버클에서 분리되는 결함으로인해 자동차 충돌 시 탑승객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음. 안전밸트 걸쇠 점검 후 교체.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
연료펌프 및 필터디젤연료 내에 이물질을 걸러내 주는 장치(히터내장형 연료필터)에서 연료가 새는 결함이 발생. 이 연료가 뒤따라오는 자동차의 바퀴와 도로 ...
생산시기 2006. 4. 18 - 2011. 4. 6 세부차명 C220CDI, E220CDI, ML280CDI, ML300CDI, S350BLUETEC 차량대수 2,424 대 조치시작 2012. 1. 9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디젤연료 내에 이물질을 걸러내 주는 장치(히터내장형 연료필터)에서 연료가 새는 결함이 발생. 이 연료가 뒤따라오는 자동차의 바퀴와 도로 사이에 묻어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 방향조정이 되지 않아, 자신의 차량은 물론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 있음. 리콜을 통해 개선된 히터내장형 연료필터로 교환.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
연료필터연료히터가 내장된 연료필터의 접합부에서 연료가 샐 가능성이 발견됨. 리콜을 통해 개선된 연료필터로 교환.
생산시기 2006. 7. 1 - 2010. 10. 31 세부차명 C220 CDI, E220 CDI 차량대수 1,367 대 조치시작 2010. 12. 13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연료히터가 내장된 연료필터의 접합부에서 연료가 샐 가능성이 발견됨. 리콜을 통해 개선된 연료필터로 교환.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
전자브레이크 시스템전자감응식 전자브레이크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신호를 받게되면 전자식에서 유입식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환되며, 제동력이 약화됨. 이 경우 브 ...
생산시기 2002. 3. 1 - 2004. 5. 31 세부차명 E클래스 및 SL클래스 차량대수 2,484 대 조치시작 2004. 6. 19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전자감응식 전자브레이크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신호를 받게되면 전자식에서 유입식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환되며, 제동력이 약화됨. 이 경우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지고 경고음이 발생. 전자브레이크 시스템 점검 후 수리.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
ECU컨트롤 유닛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던 차량에 오류가 있는 소프트웨어가 입력되어 에어백 등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될 수 있는 가능성이 ...
생산시기 2006. 9. 22 - 2016. 9. 27 세부차명 E200, E220 CDI, E220D, E250 BLUETEC 4M, E250 CDI 4M, E300, E300 4M, E350, C200 BLUETEC, C220 BLUETEC, CLS350, GLK220 CDI 4M, ML250 BLUETEC 4M, S350 BLUETEC 4M, S400 4M, S500, S500 MAYBACH, S600, S63 AMG 4M, SLK 55 AMG 차량대수 42 대 조치시작 2017. 4. 21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컨트롤 유닛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던 차량에 오류가 있는 소프트웨어가 입력되어 에어백 등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됨. 해당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조치.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
SBC제어장치 연결용 커넥터SBC제어장치가 유압에 의한 자연진동으로 연결용 커넥터와 접촉이 불량하여 SBC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고 일반적인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 ...
생산시기 2001. 6. 1 - 2005. 3. 31 세부차명 벤츠E,SL,CLS 차량대수 4,095 대 조치시작 2005. 6. 1 시정기간 1년 6개월 이상 범위에서 제작사가 자율적으로 정함 상세정보 SBC제어장치가 유압에 의한 자연진동으로 연결용 커넥터와 접촉이 불량하여 SBC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고 일반적인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환 작동되는 결함. 비포장도로 등 주행시 돌출물의 충격으로 오일팬 케이스가 변형되어 오일공급 장애. SBC제어장치 연결용 커넥터 점검 후, 수리 또는 교체.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무상수리는 리콜 대상이 아닌 다양한 제작 결함을 바로잡기 위해 시행합니다. 이곳에서는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와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등록된 2000년 이후 무상수리 자료 전체를 보여드립니다.
-
연료필터외부 온도가 아주 낮을 때 디젤연료의 왁스 성분으로 인해 연료필터가 막혀 시동이 걸리지 않음. 가열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연료히터가 내장된 ...
생산시기 2006. 7. 1 - 2009. 1. 31 세부차명 벤츠 E220 CDI 차량대수 1,266 대 조치시작 2009. 12. 9 시정기간 조치 종결 시점은 제작사 문의 상세정보 외부 온도가 아주 낮을 때 디젤연료의 왁스 성분으로 인해 연료필터가 막혀 시동이 걸리지 않음. 가열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연료히터가 내장된 연료필터 장착. 출처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공식적으로 알려진 리콜이나 무상수리 외에도 비공식적으로 처리되는 중요한 결함 정보들이 많습니다. 이곳에서는 자동차 관련 커뮤니티에서 수집된 다양한 비공식 결함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
디스플레이 가이드 라인
결함 처리 유형 사용자 문제제기 제작사는 아직 제작 결함이라고 인정하지 않았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문제를 겪고 있어요!메모 한 소비자가 BMW E Class 차량의 후방 카메라에 주차 가이드 선이 나오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고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대응함. -
| 학스71 | 2013. 5. 2 | 원본글보기[가입필요]
-
| 학스71 | 2013. 5. 6 | 원본글보기[가입필요]안녕하세요~
다들 즐거운 주말 보내셨는지요?
제가 지난 주에 E200, E220, E250, E300, E350 모든 E class에 기본 탑재된 후방 카메라 관련되어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많은 분들께서 동참 의견을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우선 진행 현황을 알려드리면, 지난 주 토요일에 소비자보호원 홈페이지에서 자동차 결함신고 메뉴를 통해서 본건을 신청하였습니다. 아래 화면 켑쳐 화면과 같이 이를 신청하였습니다. 그리고 물건 구매시 문제 접수 란에 추가로 신청해서 중재를 받을 계획입니다. (이 건도 금주 중 신고 예정)
내용을 확인해 보시려면, 본 Link인 (https://www.ciss.or.kr/jsp/home/report/carDeList.jsp) 신고마당 > 자동차결함신고내역조회 에서 보시면, 제목이 "E220| 등화 및 시계확보 장치 |기타" 라는 건입니다.
본 건이 힘을 얻기 위해서 여러분들의 많은 조회 또는 동일 건으로 글들을 많이 많이 올려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소비자의 권한은 우리 스스로가 찾아야 할 것 같더라구요. 벤츠 AS, 딜러사 모두 다 다음과 같이 같은 말만 합니다. "원래 그런대요? 흠... 메뉴얼대로 저희가 어떻게 처리해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헐~~ 이건 아니지요.... -
| 학스71 | 2013. 5. 9 | 원본글보기[가입필요]계속해서 본 건으로 소비자원에 신고 처리를 하고 있는 학스71입니다.
지난 주말에 결함제보를 신청했는데요, 가만히 보니 이건 제보만 하는 것이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돌아오는 결과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아래 켑쳐 이미지와 같이 다시 분쟁 신청을 하였습니다. 혹시 직접 보시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Link를 알려드립니다.
http://ccn.go.kr/contents/include.ccn?gSiteCode=2&gMenuCode=4&nMenuCode=76&seq=2988480
조회 시에는 본문 내용만 보이는 데요, 분쟁 건 등록 시, 차내에서 후방카메라 이미지를 촬영한 사진과 사용자 메뉴얼을 촬영한 사진들을 증거 자료로 올렸습니다.
소비자의 권리는 우리 스스로가 직접 찾아야 한다고 봅니다.
저 한명만 올리는 것 보다는 다른 분들도 많이 올려주시면 이 건이 중요한 건임을 깨닫고 공무원분들도 조금 더 움직이겠죠. 다른 분들도 시간이 되시면 상담센터에서 소비자의 권리를 요구하시길 바라면서, 이만 진척 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상담센터에서 저에게 결과가 전달되면 다시 글을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학스71 | 2013. 6. 5 | 원본글보기[가입필요]우선 한 동안 제가 회사 일이 바빠서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몇 몇 회원 분들 께서 진행 현황을 궁금해 하셔서 바쁘지만 잠시 짬을 내어서 현 상태를 알려드립니다. 다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일단 소비자 보호원에서의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주 희망적인 답변이 왔습니다. ^^)
---------------------------------------------------------------------
안녕하세요 한국소비자원 입니다. 올려주신 상담내용 잘 읽어 보았습니다.
자동차를 구입하여 운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의 사용설명서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과 실제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장치의 기능이 상이하여 발생한 사항으로 보여 집니다. 먼저 이런 경우에 대한 처리기준을 설명드리면,
정부에서는 소비자분쟁을 신속 공정하게 해결하기위하여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제정 고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원을 비롯한 소비자보호기관이나 단체에서 이기준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고 있읍니다.
이기준의 자동차와 관련 하여서는
5). 자동차 옵션용품(에어백, ABS, 원격시동경보기 등)의 하자
-. 당해옵션용품 품질보증기간 이내 : 무상수리, 구입가환급 또는 교환
-. 당해옵션용품 품질보증기간 이후 : 유상수리 로 규정되어 있읍니다.
이규정에 의거하여 사업자에게 보상을 요구 하도록 하세요.
이러한 요구를 할 때는 가급적 서면으로 해야 하며 발송 사실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내용증명으로 발송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용증명우편' 작성 및 발송 방법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www.kca.go.kr) -> 좌측 상단 '피해구제마당' -> '관련양식' -> '내용증명 안내 및 작성' -> '내용증명 작성하기' 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요청을 사업자가 거부하면 우리원에 피해구제를 요청하도록 하세요.
피해구제 신청서는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www.kca.go.kr) -> 좌측 상단 ‘피해구제마당’ → ‘관련양식’ → ‘일반피해구제신청서를 다운로드 하여 작성하시어 우리원으로 우편이나 팩스로 보내 주시면 해당팀에서 검토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우리원의 주소와 팩스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o 우편 : (우편번호 137 -700)서울 서초구 양재대로 108 (한국소비자원 1층 정보통신팀)
o 팩스 : 02-3460-3180 또는 02-529-0408 (1층 정보통신팀)
한국소비자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그리고 소비자원 홈페이지에서 관련된 내용을 확인해 보니 "자동차 옵션용품(에어백, ABS, 원격시동경보기 등)의 하자" 는 제조사에서 출고시 장착되어 나오는 경우, 제조사에서 변상해 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저는 우체국을 통해서 내용 증명을 벤츠코리아에 아래 사진에서와 같이 직접 보냈습니다. (5월 13일 발송) 그리고 2주 후, 벤츠코리아에 확인해 봤더니 서류를 받았고 확인 중에 있으며 답변을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답변이 안오거나 어떻게든 답을 회피할 것으로 거의 확신하고 있습니다.
만약 벤츠코리아에서 합당한 대응이 없는 경우, 6월 하반기에 정식으로 소비자 보호원을 통해서 다시 중재 요청할 예정입니다.
-
2000년 이후 국토교통부와 한국소비자원에 신고된 급발진 의심 사고는 800여건이 넘지만, 지금까지 제작사나 정부가 인정한 급발진 사고는 0건입니다. 이곳에서는 차종별로 신고된 급발진 의심 사고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
2012년 신고
2008년식 E220 CDI2008년 7월 28일 주차장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출처 : 국토교통부 자동차 급발진 사고 신고현황 자료 -
2014년 신고
2007년식 E2802013년 9월 25일 세차장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출처 : 국토교통부 자동차 급발진 사고 신고현황 자료 -
2016년 신고
2016년식 E220 CDI2016년 5월 9일 일반 도로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출처 : 국토교통부 자동차 급발진 사고 신고현황 자료
2000년 이후 미국 내 자동차 리콜 1만3천여건을 분석해 국내에서 판매 중인 차종의 결함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단, 일부 차종의 경우 국내외 판매 사양에 차이가 있어 미국 리콜 데이터가 국내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서스펜션 (후면)
부품명 SUSPENSION:REAR 세부차명 E350 (2007~2009) 생산시기 2006. 7. 1 - 2009. 4. 30 차량대수 3,613 대 조치시작 2012-09-07 시정기간 결함상세 IF THIS OCCURS, THE DRIVER MAY HAVE REDUCED VEHICLE CONTROL, INCREASING THE RISK OF A CRASH. 안전위험성 MERCEDES-BENZ IS RECALLING CERTAIN MODEL YEAR 2007-2009 E350 4MATIC WAGON VEHICLES MANUFACTURED FROM JULY 1, 2006, THROUGH APRIL 30, 2009. A CONNECTING ROD FOR THE LOAD LEVELING REAR SUSPENSION SYSTEM MAY FAIL. 조치내용 MERCEDES-BENZ WILL NOTIFY OWNERS, AND DEALERS WILL REPLACE ALL THE CONNECTING RODS, FREE OF CHARGE. THE SAFETY RECALL BEGAN ON SEPTEMBER 7, 2012. OWNERS MAY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전기 시스템
부품명 ELECTRICAL SYSTEM 세부차명 C (2005~2008), E CLASS (2003~2008), S CLASS (2004, 2007~2008) 생산시기 2002. 11. 1 - 2007. 10. 31 차량대수 404 대 조치시작 2008-08-30 시정기간 결함상세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 ELECTRICAL FUEL PUMP MAY NOT RECEIVE A CRASH SIGNAL THAT IS REQUIRED FOR THE FUEL PUMP TO DISCONNECT AND PREVENT FUTURE FUEL DELIVERY AS DESIGNED. 안전위험성 MERCEDES-BENZ IS RECALLING MY 2006-2008 M-CLASS, R-CLASS, MY 2005-2009 SLK-CLASS, MY 2005-2008 C-CLASS, MY 2003-2004 AND 2006-2008 CLK-CLASS, MY 2003-2008 E-CLASS, MY 2004 AND 2008 CL-CLASS, MY 2008 CLS-CLASS, MY 2004 AND 2007-2008 S-CLASS, MY 2003 G-CLASS, AND MY 2003-2004, 2006 AND 2009 SL-CLASS VEHICLES. A SOFTWARE CALIBRATION NUMBER (SCN) CODING RECEIVED ON THE AFFECTED VEHICLES DURING A RECENT WORKSHOP VISIT WAS INCORRECT. DEPENDING ON THE MODEL YEAR AND MODEL AFFECTED, THE RESULTS OF AN INCORRECT SCN CODING CAN AFFECT A NUMBER OF VEHICLE SAFETY AND EMISSION FUNC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TYPES OF FUNCTIONS: (1) THE FUEL GAUGE READINGS MAY BE INCORRECT; (2) A STUCK FUEL-LEVEL SENSOR MAY NOT BE DISPLAYED IN THE INSTRUMENT CLUSTER; (3) THE OBD SYSTEM MAY CAUSE THE CHECK ENGINE LIGHT TO ILLUMINATE INCORRECTLY; AND, (4) THE SPEEDOMETER MAY BE OUT OF TOLERANCE. 조치내용 DEALERS WILL RECODE THE SCN FREE OF CHARGE. THE RECALL BEGAN ON AUGUST 30, 2008. OWNERS MAY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엔진 (크랭크샤프트 센서)
부품명 ENGINE AND ENGINE COOLING:ENGINE:DIESEL 세부차명 E (2006~2008) 생산시기 2006. 5. 1 - 2007. 10. 31 차량대수 9,004 대 조치시작 2008-02-04 시정기간 결함상세 WHEN THIS HAPPENS, THE VEHICLE MAY LOSE POWER RATHER THAN ENTER A LIMP-HOME MODE. IN ADDITION, THE VEHICLE CANNOT BE RESTARTED AFTER FAILUR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SENSOR, INCREASING THE RISK OF A CRASH. 안전위험성 ON CERTAIN PASSENGER VEHICLES EQUIPPED WITH DIESEL ENGINES, THE CRANKSHAFT SENSOR COULD FAIL DUE TO SEPARATION OF BOND WIRES FROM THE LEAD FRAME IN THE SENSOR. THIS RESULTS IN AN INTERRUPTION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CHIP HOUSING OF THE SENSOR. 조치내용 DEALERS WILL REPLACE THE CRANKSHAFT SENSOR. THE RECALL BEGAN ON FEBRUARY 4, 2008. OWNERS MAY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제동장치
부품명 SERVICE BRAKES, HYDRAULIC 세부차명 E CLASS (2003~2005) 생산시기 2001. 8. 1 - 2005. 3. 31 차량대수 204,000 대 조치시작 2005-08-08 시정기간 결함상세 IN THE HYDRAULIC BACK-UP MODE, THE DRIVER HAS BRAKING POWER SUFFICIENT TO STOP THE VEHICLE, ALTHOUGH GREATER BRAKE PEDAL PRESSURE IS REQUIRED AND THE BRAKE PEDAL TRAVEL WILL BE NOTICEABLY LONGER. 안전위험성 ON CERTAIN VEHICLES, THE SENSOTRONIC BRAKE CONTROL (SBC) SYSTEM MAY PREMATURELY SHIFT TO THE HYDRAULIC BACK-UP FUNCTION MOD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WIRING HARNESS CONNECTION, OR DUE TO PREMATURE FAILURE OF THE HYDRAULIC PUMP. 조치내용 DEALERS WILL INSTALL A BRACKET AND REPLACEMENT GROUND WIRE TO THE SBC PUMP UNIT ON ALL VEHICLES FREE OF CHARGE. ADDITIONALLY DEALERS WILL INSPECT AND REPLACE THE SBC PUMP UNIT IN SL VEHICLES PRODUCED DURING A LIMITED PRODUCTION PERIOD. THE RECALL BEGAN ON AUGUST 8, 2005. OWNERS MAY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제동장치
부품명 SERVICE BRAKES, HYDRAULIC 세부차명 E CLASS (2003~2005) 생산시기 2001. 10. 1 - 2004. 5. 31 차량대수 143,387 대 조치시작 2004-10-21 시정기간 결함상세 IF VEHICLES ARE NOT ROUTINELY SERVICED AND HAVE EXTREMELY HIGH MILEAGE COMBINED WITH A HIGH NUMBER OF BRAKE ACTUATIONS, OR A HIGH BRAKE ACTUATION FREQUENCY, THE PUMP MOTOR OF THE SBC MAY RUN OUT OF PERMISSIBLE TOLERANCES, THEREBY TRIGGERING THE HYDRAULIC FUNCTION MODE. 안전위험성 ON CERTAIN VEHICLES, THE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OF THE SENSOTRONIC BRAKE CONTROL (SBC) IS DESIGNED TO MONITOR THE PRESSURE GRADIENT WITHIN THE HIGH PRESSURE LINE OF THE BRAKE SYSTEM. IF AN UNACCEPTABLE PRESSURE GRADIENT IS DETECTED, THE SYSTEM WILL SWITCH, AS IT IS DESIGNED TO DO, INTO THE HYDRAULIC FUNCTION MODE. 조치내용 DEALERS WILL INSPECT THE SBC HYDRAULIC UNIT, REPLACING IT IF NECESSARY. THE RECALL BEGAN ON OCTOBER 21M 2004. OWNERS SHOULD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안전벨트
부품명 SEAT BELTS 세부차명 C CLASS (2004), E CLASS (2004) 생산시기 2003. 8. 1 - 2003. 10. 31 차량대수 4,348 대 조치시작 2003-12-22 시정기간 결함상세 IN THE EVENT OF A CRASH, THE SEAT OCCUPANT MAY NOT BE PROPERLY RESTRAINED, INCREASING THE RISK OF INJURY. 안전위험성 ON CERTAIN PASSENGER VEHICLES, SOME SEAT BELT BUCKLES MAY HAVE A BURR ON A METAL COMPONENT OF THE LOCKING MECHANISM. THE PRESENCE OF THE BURR COULD PREVENT THE SEAT BELT FROM LOCKING UNDER CERTAIN CIRCUMSTANCES. 조치내용 DEALERS WILL REPLACE THE SEAT BELTS. OWNER NOTIFICATION BEGAN ON DECEMBER 22, 2003. OWNERS SHOULD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
조향장치
부품명 STEERING 세부차명 E CLASS (2003) 생산시기 2003. 1. 1 - 2003. 3. 31 차량대수 554 대 조치시작 2003-08-21 시정기간 결함상세 THE LOOSENING OF THE NUT COULD RESULT IN A SLIPPING OF THE CONNECTION OVER TIME, INCREASING THE RISK OF A CRASH. 안전위험성 ON CERTAIN PASSENGER VEHICLES, THE NUT ON THE BOLT WHICH CONNECTS THE STEERING GEAR TO THE STEERING COUPLING MAY NOT BE TIGHTENED CORRECTLY. 조치내용 DEALERS WILL INSPECT THE VEHICLES AND TIGHTEN THE NUT ON THE BOLT IF NECESSARY. OWNER NOTIFICATION BEGAN AUGUST 21, 2003. OWNERS SHOULD CONTACT MERCEDES-BENZ AT 1-800-367-6372. 출처 NHTSA
공유하기
결함신고
후원하기